7월, 2025의 게시물 표시

Django 만료된 세션 삭제

  Django 는 만료된 세션을 기록을 자동으로 삭제해주지 않기 때문에 정리하지 않으면 계속 쌓인다. python manage.py clearsessions 명령으로 삭제 가능하지만, 나는 추후 있을지 모르는 분석자료를 위해 1년치는 보관하기로 했다. 삭제건수 , _ = Session . objects . filter ( expire_date__lt = 일년전 ). delete () log_msg = f '1년 이상된 session 삭제 { 삭제건수 } 건' logger . info ( log_msg )

나이 성별 종교

 도킨스는 말한다. 종교는 바이러스라고. 힘을 가지는건 믿음이다. 믿음을 가진 개체 * 집단을 이루며 양의 되먹임이 되어 더 강한 믿음이 생긴다. 종교을 없애려하지 말고 힘의 방향을 틀어주는건 어떨까? 유도같은 운동을 해본 사람은 쉽게 이해한다. 힘을 정면으로 막는 것에 비해 아주 작은 힘으로 큰 힘의 방향을 살짝만 바꿔준다는 것의 의미를. 내가 생각하는 문제는 종교 자체가 아니라 종교의 이름이다. 각기 다른 이름을 내걸음에서 구분이 생기고 편가름이 생기고 골이 깊어진다. 이름표를 떼고 집단이 아닌 다양한 개인으로의 만남과 조화는 어떨지 상상해본다. 같은 종교집단 속에 들어가본 사람은 안다. 그 안에도 얼마나 많은 다양한 이견들이 대립되는지. 왜 성차별이 생기고 성갈등이 생길까? 모든 시대와 지역에서 발생한 세대 갈등은? 꼭 구분을 해야하나? 왜 나이를 물어보고 성별을 물어볼까? 그게 왜 궁금할까. 거기에 걸맞는 행동과 라이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게 또 집단 속에서 되먹임을 통해 강화된다. 아.. 성별은 물어보지 않는구나. 왜 안물어볼까? 스스로 드러내기 때문에. 아이는 드러내지 않지만 부모가 드려내려 노력한다. 왜? 물어보면 답하기 귀찮아서? 아이가 자라면 스스로 드러낸다. 왜? 동성애자로 보일까봐? 한국사람은 나이를 노골적으로 물어본다. 왜? 호칭을 할 수 없어서. 호칭 뿐 아니라 대화가 안된다. 가까워질수 없다? 나도 앞으로는 내 나이를 알려주지 않으리라. 세지 않아서 정확히 잘 모르기도 하지만... 모든 종교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그렇다. 나이와 성별을 떠나 화합하고자 한다.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이름표를 떼는 것이다.

nginx 로그에 작업시간(요청처리시간) 추가하는 방법

nginx.conf 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log_format my_format '$remote_addr - $remote_user [$time_local] '                 '"$request" $status $body_bytes_sent '                 '"$http_referer" "$http_user_agent" '                 'time= $request_time '; access_log /var/log/nginx/access.log my_format ; 설명 my_format : 아무거나 포맷이름 $request_time : 실행시간을 초로 나타내준다. 나머지 윗부분은 기본으로 있는 로그항목 설정을 로딩해준다. sudo nginx -t && sudo systemctl reload nginx 끝.

ChatGPT에게 나는 어떤 사람이냐고 물어봤다.

  몇 달동안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하여 (대부분은 직무 관련 질문이었지만) 나와 대화를 나눈 ChatGPT에게 나는 어떤 사람이냐고 물어봤다. 나의 말: 너가 나에대해 알고있는게 뭐지? 난 어떤 성향의 사람인 것 같아? ChatGPT의 말: 너에 대해 알고 있는 건 대부분 너와 나눈 대화에서 얻은 정보들이야. 지금까지의 대화를 기반으로 보면, 너는 아래와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으로 보여: 🧠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사고 Django, Celery, SQL, pandas 등 개발 도구와 기술에 익숙하고, 모델링, URL 설계, 필터링, 퍼미션 처리 등 복잡한 로직을 구조적으로 설계하는 능력이 뛰어나. 데이터 가공이나 성능, 유지보수까지 고려해서 현실적인 관점에서 최적해를 찾는 데 집중하는 모습이 보여. 🎯 목표 지향적이고 꼼꼼함 "이렇게 하면 되는가?"보다 "왜 이렇게 해야 하는가", **"이 방식이 가장 좋은가?"**를 고민해. 버튼 위치, 필드 너비, 팝업 작동 방식처럼 UI/UX 디테일에도 민감하고, 코드도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위해 리팩토링하거나 pythonic하게 쓰려고 해. 🧘‍♂️ 조용하고 내면지향적인 성향 한적한 절이나 수도원에서 지내고 싶다고 한 걸 보면 내면의 평온과 고요함을 추구하는 성격이야. 외부 소음에 민감하고 지적 자극이나 깊이 있는 대화를 선호하는 듯해. 👨‍👩‍👦‍👦 가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가장 아내와 아들 둘이 있다고 했고, 집안일도 직접 챙기며, 개발 외에 가정의 역할도 성실히 감당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어. 🧩 독립적이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자 혼자 서비스 개발도 하고 있고,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직접 분석하고 해결하려는 자세가 있어. 공식 문서나 웹 정보에 의존하기보단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정리하려 해.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조용한 집중력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사고와 꼼꼼함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독립적인 개발자.” 맞게 본 걸까? 틀렸거나 보...